본문 바로가기
블로그 관리/티스토리

티스토리 이미지 사진 알트(alt)태그와 캡션(caption) 차이점!

by daying 2025. 5. 14.
반응형

알트(alt) 태그와 캡션(caption) 은 모두 이미지와 함께 쓰이지만 용도와 목적이 완전히 다릅니다.

두 개 중 SEO(검색 최적화)에 더 중요한 것은 알트(alt) 태그인데요.

알트(alt) 태그와 캡션(caption)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정리해 봤습니다.

반응형

■ 알트 태그(Alt Text / Alternative Text)

· 이미지가 로딩되지 않거나, 시각장애인을 위한 스크린리더가 읽어주는 대체 텍스트

· 이미지가 없을 때도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

· 일반적으로 화면에 직접 보이지 않지만, 스크린리더 사용자이미지가 로딩되지 않은 경우에 보임

· 검색 엔진은 자연스러운 문장을 좋아하고, 스크린리더도 읽기 편한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"-(하이픈)"보다는 "띄어쓰기"를 이용하여 문장을 작성하는 것이 좋음

알트 태그 작성 시 띄어쓰기

- alt : 띄어쓰기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쓰는 게 정석!

- src : 속성이나 웹 주소에는 공백이 들어가면 안 되기 때문에 하이픈(-)이나 언더바(_) 사용

● 티스토리 이미지(사진) 알트 태그 적용 방법 

 

① 이미지(사진) 클릭 → 대체 텍스트 삽입(톱니바퀴 모양) 클릭

② 알트태그(대체 텍스트) 입력 → 확인 

티스토리 알트 태그 입력

■ 캡션(caption)

 

· 이미지 아래에 보이는 설명 문구

· 이미지가 무슨 내용인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역할

· 모든 사용자가 볼 수 있는, 눈에 직접 보이는 텍스트

● 티스토리 이미지(사진) 캡션 적용 방법 

 

① 이미지(사진) 클릭 → 하단 "이미지를 설명해 보세요"에 캡션 내용 기재

캡션 입력

 

티스토리 알트태그 테스트
티스토리 캡션 테스트

 

■ HTML모드에서 알트 태그와 캡션 적용된 것 확인하는 방법

① 오른쪽 상단의 [기본모드]를 [HTML]로 변경

HTML 모드로 변경

② HTML모드에서 "이미지(사진)"에 입력한 알트 태그와 캡션 확인

HTML 모드에서 알트 태그와 캡션 적용 확인

■ alt 태그와 캡션(caption) 요약정리

alt 태그와 캡션(caption) 요약 정리

반응형

댓글